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른나이에 생리를 시작했다면 성조숙증 증상 원인 치료방법

by 슈이니슈이니 2024. 9. 13.
반응형

성조숙증은 사춘기가 비정상적으로 이르게 시작되는 상태로, 여아는 8세 미만, 남아는 9세 미만에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질환은 최근 몇 년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의 정의

성조숙증은 성호르몬이 이른 시기에 분비되어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말합니다. 여아는 유방 발달, 남아는 고환의 발달이 8세 또는 9세 이전에 나타납니다.

성조숙증의 유형

  • 진성 성조숙증: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난소 또는 고환)이 활성화되어 발생합니다.
  • 가성 성조숙증: 호르몬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신체의 내분비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나타납니다.

성조숙증의 원인

  •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성조숙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 환경적 요인: 비만, 환경 호르몬, 스트레스 등이 성조숙증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의학적 요인: 뇌종양, 부신의 이상 등도 성조숙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의 증상

  • 여아: 유방 발달, 체모 성장, 월경 시작.
  • 남아: 고환 발달, 음경 크기 증가, 체모 성장.

성조숙증의 진단

  • 신체 검사: 2차 성징의 발현 여부를 확인합니다.
  • 호르몬 검사: 혈액 검사를 통해 성호르몬 수치를 측정합니다.
  • 영상 검사: MRI 등을 통해 뇌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의 치료

  • 호르몬 치료: 성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정신적 지원: 조기 성숙으로 인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비만과 성조숙증

비만은 성조숙증의 중요한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체내 지방이 증가하면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아져 성조숙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만 아동의 경우 사춘기가 평균적으로 1~2년 정도 빨리 시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이 성조숙증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은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이 질환은 신체적,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부모와 의료진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성조숙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예방 및 치료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희 딸 이야기를 해보자면, 저희 딸은 코로나 이후 갑작스럽게 체중이 증가하여 2학년 때 가슴에 몽우리가 잡혔으며, 초등학교 3학년인 지금, 얼마 전 생리를 시작 하였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워낙 잘 먹기도 하고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배제 할 수 없기에 몸의 변화가 빨리 온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그것이 오히려 정상일 수도 있다는 건너건너 아는 의사선생님의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에 굳이 검사와 치료를 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저 또한 5학년 여름에 생리를 시작 하였기 때문에 유전적 요인도 있을 것이라고 판단 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아직 제 눈엔 아무것도 못 할 것만 같은 아기같은(?) 아이가 생리대를 갈고 뒤처리를 해야하는 상황이 와 버렸습니다. 저도 이렇게 빨리 시작 할 줄은 몰랐기 때문에 속으로 엄청 놀랐지만 아이 앞에서는 안 그런 척 하며 다 컸다고 칭찬 해 주었습니다. 엄마의 무지와 안일함이 아이를 힘들게 만들었구나 싶어 마음이 안좋았습니다. 아이는 처음엔 너무 겁에 질려 머리가 아프다며 한참을 누워있었지만, 곧 잘 이겨내고 지금은 얼굴에 여드름이 올라와도 생리 때문에 여드름 난다며 쿨하게 장난치며 인정 하고 있네요. 

 

생리를 빨리 한다고 해서 당장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생리를 빨리 할 수록 폐경이 빨리 오기 때문에 당사자는 중년의 건강관리를 철저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성조숙증 검사와 치료는 대학병원, 대형소아과, 성장클리닉, 한방병원 등등 다양한 곳에서 검사와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